안녕하세요. 고대문명연구소 2025년 9월 정기포럼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Zoom 을 이용해 온라인으로 진행됩니다. 관심 있는 분은 누구든 참석하실 수 있습니다.
9월 정기포럼 안내
- 일시: 2025년 9월 27일 (토) 오후 2시
- 발표: 조충현 (단국대학교 사학과 강사)
- Zoom link: https://us06web.zoom.us/j/87089553587 (회의ID: 870 8955 3587 / 암호: 5114)
❬중국 불탑의 시원 문제❭
동한대(東漢代, 25~220)에 중국으로 불교가 전래되면서, 부처의 사리(舍利)를 봉안한 건조물인 탑(塔)을 세우는 관습도 함께 소개되었다. 그러나 이 시기의 탑은 현존하지 않으며, 신빙성 있는 관련 문헌 기록도 드물다. 그럼에도 중국의 불탑이 그 원형인 인도의 반구형 스투파(stūpa)와 달리 여러 층의 목조 건물로 출현했다는 점은 연구자들의 큰 관심을 끌어왔다. 이러한 양자의 확연한 차이에 대해 지금까지 여러 의견이 제기되었는데, 이들은 대체로 다음의 두 가지 전제 중 하나에 기초한다. 첫째, 중국의 중층형 탑은 전통적인 다층 건물 위에 인도의 스투파를 축소하여 올려놓음으로써 형성되었다. 둘째, 반구형 스투파가 중국으로 전해지는 과정에서 점차 고층화되었고, 그 결과 중층형 탑으로 발전하였다. 본 발표는 근래의 고고학 발견과 기존에 알려졌던 미술/문헌 자료의 재검토를 바탕으로 중국 불탑의 시원에 대해 기존과는 다른 해명을 시도한다. 아울러 중국 불교도가 낯선 건조물인 탑을 실제로 어떻게 인식했는지라는, 지금까지 거의 다루어지지 않았던 문제도 함께 살펴본다.
표지그림: 스투파 숭배
무영사(武榮祠) 전실 서벽 상단 | 2세기 전반 | 탁본 | 산둥성(山東省) 지닝시(濟寧市) 자샹현(嘉祥縣)
Édouard Chavannes, Mission archéologique dans la Chine septentrionale, vol. 3 (Paris: E. Leroux, 1913), pl. LVI.
탑형 도기
3세기 전반 | 높이 104cm | 2008년 10월 후베이성(湖北省) 샹판시(襄樊市) 판청차이웨 (樊城菜越) 1호묘 발견
襄樊市文物考古研究所, 「湖北襄樊樊城菜越三國墓發掘簡報」, 『文物』 2010.9(2010), 圖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