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의향기-고대의향연,

요조숙녀와의 XX?

심재훈 심재훈 Jan 19, 2021
요조숙녀와의 XX?
Share this

귀한 서예 작품을 선물로 받았다. 중국 고문자 서예전문가인 경동대 박재복 교수가 심혈을 기울인 제55회 한국서예가협회전 출품작이다. “안대간”이라고 부르는 중국 안휘대학 소장 전국시대 죽간문헌(❬안휘대학장전국죽서❭) 제1권의 맨 앞에 실린 ❬시경 국풍❭의 유명한 시 “관저關雎”를 임모한 것이다. 기원전 4세기 경 초나라 죽간 자체 그대로이다.

안휘대학의 한자발전과 응용연구중심은 2015년 초나라 죽간문헌 더미를 입수했다. ❬시경❭과 제자백가류, 초나라 역사서 등 진귀한 문헌을 포괄한다. 정리를 거쳐 2019년 제1권으로 펴낸 책에 「국풍」에 해당하는 시 57편을 담았다.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동아시아 최초의 시집인 ❬시경❭은 한나라 때인 기원전 1세기경에 편집된 「모시毛詩」를 기반으로 한다. 거기에 포함된 시들은 서주 초인 기원전 11~10세기경부터 지어진 시들이지만, 기원전 213년 진시황의 분서갱유를 겪으며 책들이 훼손된 지 수십년 후 재편집되기 시작한 문헌이라고 보면 된다.

「모시」보다 250~300년 정도 앞선 안대간 ❬시경❭에 그 원초성이 더 보존되어 있을 터이니, 아주 중요한 자료임에 틀림없다. 이미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안대간 ❬시경❭은 「모시」와 같은 점도 있고, 다른 점도 있다. 특히 시의 구절 위치가 다르거나, 문자 자체가 다른 경우가 많다. 이를 통해 전국시대에서 한대까지 개별 한자의 쓰임 방식이 바뀐 면모를 살펴볼 수 있다.

현본 ❬시경❭의 맨 앞에 실린 “관저”는 한 젊은 남성이 멋진 여성을 갈구하는 연애시이다(혼인 시로 보는 견해도 있다). 거기서 동아시아에서 정숙한 여성을 이르는 “요조(窈窕)숙녀”라는 말이 최초로 나온다.

그런데 안대간 “관저”에는 “요조”가 “요적要翟”으로 쓰여 있다. 초간의 “요”자는 두 손으로 허리를 쥐고 있는 모양으로, 정리자는 “요적”을 “가늘고 긴 허리”로 해석한다. 그 “요적”이 한대에 발음이 비슷한 “요조”로 전이되어 정숙한 여인의 의미로 이해되었을 것이다. 이전에도 이를 다르게 본 학자들이 있었지만, 안대간의 이른바 “요조숙녀”는 요즘 식으로 해석하면 “섹시한 아가씨” 정도가 되지 않을까 한다.

여기서 한 가지 더 흥미로운 해석을 추가하고 싶다. 이 시의 초입에 물수리의 울음소리로 나타나는 “관관關關”에 대한 새로운 해석이다. 「모시」에서 이를 “암수가 서로 감응하는 조화로운 소리”로 본 이래, 대부분의 후대 연구자들도 이를 수용한다.

그러나 2009년 단국대학 초빙강연에서 시카고대학의 에드워드 쇼네시 교수는 발칙한 해석을 내놓았다. ❬시경 국풍❭의 여러 시에서 나타나는 새와 물고기 같은 자연의 이미지가 “섹스”를 암시하듯, “관저”의 물수리 울음소리 “관관”도 고대 중국어에서 성적삽입의 완곡어법인 “관串” 혹은 “관貫”으로 불 수 있다고 한다.^^ 어떤 여성을 짝사랑하는 남성 주인공인 시인이 “관관”이라는 소리에서 자신과 비슷한 처지의 수컷 물수리가 그 짝과 결합을 추구하는 모습을 연상했으리라는 것이다.

쇼네시의 새로운 해석에 따른 “관저”의 번역은 아래와 같다:

“결합하자, 결합하자” 물수리가 외치네,
강 속의 섬에서.
매력적인 그 아가씨,
군주 아들이 사랑하는 배필.

위로 아래로 (춤추는) 물풀,
좌우로 그것을 쫓네.
매력적인 그 아가씨,
자나깨나 그녀를 찾네.

원하지만 그녀를 가질 수 없어,
자나깨나 생각하네.
아 그립도다, 아 그립도다!
이리저리 몸을 뒤척이네.

위로 아래로 (춤추는) 물풀,
좌우로 그것을 뜯네.
매력적인 그 아가씨,
거문고와 큰 거문고를 연주하며 그녀와 벗하네.

위로 아래로 (춤추는) 물풀,
좌우로 그것을 모으네.
매력적인 그 아가씨,
종과 북으로 그녀를 기쁘게 하네.

(쇼네시의 글은 심재훈 편, ❬화이부동의 동아시아학❭, 푸른역사, 2012에 「이미지 불러일으키기❬興❭: 고대 중국 역易과 시詩의 상관성」이라는 제목으로 실려 있다).

심재훈  
고대 중국을 조금 알고 나니 그에 버금가는 다른 문명의 상황이 궁금해집니다. 새로운 출토자료를 활용하여 중국 고대사를 주로 연구하고, 동아시아 사학사, 기억사, 고대문명 비교 연구에 관심이 있습니다. academia.edu/JaehoonSh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