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소소식,

❬제2회 고문자와 출토문헌 학교❭ (2025년 8월)

김석진 김석진 Jul 09, 2025
❬제2회 고문자와 출토문헌 학교❭ (2025년 8월)
Share this

고대문명연구소는 학문 후속세대(혹은 종사자)를 대상으로 ‘제2회 고문자와 출토문헌 학교’ 프로그램을 기획하였습니다.

이번 강좌는 경동대 박재복 선생님을 모시고 ‘고문자의 서사 방식과 서사 재료’라는 주제로 준비하였습니다. 강의는 오는 8월에 현장ㆍ온라인으로 진행됩니다.

구체적인 내용은 첨부드린 계획서 등을 참조하여 주십시오.

고문자 자료와 해독에 관심을 가지신 대학원생과 연구자분들 모두 환영합니다.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홍보 부탁드립니다.

수강을 원하시거나 문의주실 분은 본 연구소 김석진 연구교수에게 연락 부탁드립니다.

김석진 (bingley314@daum.net 010-9310-2918)


강사 소개: 박재복(朴載福)

서예와 동양고전을 공부하고, 중국 고문자학과 고고학으로 학위를 받았습니다. 최근 지하에서 출토되는 고대 동아시아의 갑골, 청동기, 간백, 석각, 봉니 자료들을 중심으로 문자의 조형과 고대사를 탐구하고 있습니다.

  • 현 경동대학교 국제융합학부 교수
  • 중국 북경대학 석ㆍ박사(고문자학/상주고고학)
  • (사)유도회 한문연수원 주역 교수
  • (사)시계연서회•한국서예학회 부회장
  • (사)한국전각협회 이사
  • 한국서예가협회 학술분과위원장

주요 연구

  • 2011, 《先秦卜法硏究》 (上海: 上海古籍出版社).
  • 2016, 蘇秉琦 지음/朴載福 옮김, 『(中國 文明의 起源을 새롭게 탐구한) 區系類型論』 (진주:考古).
  • 2012, 「殷商시기 甲骨文에 보이는 ‘征人方’ 고찰」, 『유교문화연구』 20.
  • 2013, 「商중기 甲骨의 특징과 그 형성과정 고찰」, 『고고학탐구』 13.
  • 2013, 「殷商시기 甲骨文에 보이는 商과 夷族의 관계」, 『동양사학연구』 123.
  • 2014, 「중국 북방지역의 갑골점복에 관한 고찰: 朱開溝문화와 夏家店하층문화를 중심으로」, 『중국고중세사연구』 32.
  • 2017, 「〈王子午鼎〉 명문의 내용과 서체미 고찰」, 『문화와 예술연구』 10.
  • 2017, 「西周초기 甲骨의 특징과 그 변화양상 고찰」, 『동양고전연구』 68.
  • 2019, 「새로운 출토문헌: 청화간 《殷高宗問於三壽》 역주(상)」, 『동양고전연구』 75.
  • 2025, 「한양도성의 각자성석에 대한 금석학적 고찰」, 『한국중세고고학』 17.

강의계획서

단국대 고대문명연구소 제2회 ‘고문자와 출토문헌 학교’

김석진
전래ㆍ출토자료를 활용하여 고대중국의 사학사와 문헌사를 연구합니다. 고대 동아시아인들이 역사(실재성 정보와 기억)를 어떻게 구현하고(문자, 기록, 구술, 매체, 문서, 책) 활용했는지(기능ㆍ용도)에 관심이 있습니다.